Key
Key
Key
대칭 키
- 암호화에 필요한 key = 복호화에 필요한 key
- 속도가 매우 빠름
- 하지만 중간에 재킹 당할 위험이 있음 (키 분배의 문제)
비 대칭키 (공개 키)
- 암호화에 필요한 key ≠ 복호화에 필요한 key
- 일반적으로 남들이 알아도 괜찮은 공개 키만 공개
- 자신만 알수 있는 고유한 암호키로만 복호화를 시도
- 대칭 키에 비해 복잡하다.
어떻게 공개키는 암호화를 진행 할까?
- A와 B는 서로 암호화 통신을 할려한다.
- A는 공개 키를 웹상에 전파한다.
- B는 A의 공개 키를 가지고 암호화를 진행 그리고 전송한다.
- B는 A가 암호화 한것을 자신만 아는 고유한 암호키로 복호화를 시도 데이터를 수신한다.
- B는 그에 대한 대답으로 A의 공개 키로 암호화를 진행 그리고 전송한다.
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무결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.
→ 전자 서명 방식으로 해결
대칭 키 + 공개 키
- 기존의 대칭키의 key 분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 키를 사용해 대칭 키를 사용
- 그리고 그 뒤부턴 대칭키로 통신한다!
- HTTPS 가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한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