포스트

File system

File system

File System

파일이나 자료를 유지 및 관리하는 방법

특징

  • 커널 영역에서 동작한다.
  • 파일의 CRUD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목적
  • 계층적 디렉터리를 가진다.

역할

  • 파일 관리
  • 보조 저장소 관리
  • 파일 무결성 메커니즘
  • 접근 방법의 제공
  • 하드디스크의 효율적 사용

구조

  • 메타 영역
    • 파일의 이름, 위치, 크기 등 파일 정보
  • 데이터 영역
    • 파일의 데이터

파일 접근 방법

순차 접근

  • 현재 찾는 파일의 위치가 앞으로 보내면서 탐색 없으면 뒤로 탐색 시작

Untitled

  • 테이프와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한다. (포인터)

직접 접근

Untitled

  • 현재 위치를 가르키는 cp변수를 활용해 움직인다

색인 접근

Untitled

  • 레코드를 찾기 전 그에 대응되는 색인을 먼저 찾아 포인터를 얻는다.
  • 크기가 큰 파일에 유리
  • 하지만 색인 파일도 메모리이다.

디스크 구조

1단계 디렉터리

Untitled

  • 파일들은 서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.
  • 서로 같은 이름 어디서든지 사용 불가

2단계 디렉터리

Untitled

  • 사용자에게 개별적인 디렉터리 만들어줌
    • UFD : 자신만의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
    • MFD : 사용자의 이름과 계정번호로 색인되어 있는 디렉터리

트리 구조 디렉터리

Untitled

  • 위의 트리 구조 디렉터리 에서 한 비트를 활용해서 추가 트리를 사용한다.
    • 0 이면 일반 파일
    • 1 이면 디렉터리 파일
  • 절대 경로명과 상대 경로명이 존재한다.

그래프 구조 디렉터리 (비순환)

Untitled

  • 순환은 피해야한다. → 하위 디렉토리가 아닌 파일에만 링크를 허용
  • 두가지 문제에 주의
    • 가명 문제 : 파일이 여러개의 경로명을 가질 수 있기에 중복 검색 위험
    • 할당 해제 문제 : 포인터를 해제 할 때 한번에 잘 해제 해야한다. 추후 삭제되지 않고 엉뚱한 디렉토리가 가르킬 수도.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